[미네르바의집]자립 수당조차 미신청.. '사라진 아이들' 어디 갔을까
[보호종료, 새 동행의 시작] 퇴소 뒤 사라진 아이들
조회 : 74 회

정부는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에게 매달 35만원의 자립 수당을 지급한다. 시설 밖 사회로 첫발을 내디딘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한 최소한의 지원이다. 하지만 지난해 32명의 자립준비청년이 정부·지방자치단체, 보육시설과 연락이 닿지 않아 수당 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홀로서기 위한 최소한의 도움조차 받지 못하는 상황을 위기 신호로 해석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립준비청년 출신이면서 이들을 돕는 사회적기업 브라더스 키퍼를 운영하는 김성민 대표는 19본인 상황이 아무리 어려워도 주변과 연락 자체를 아예 끊는 경우는 없다성매매나 범죄에 가담하고 있거나 정서적 고위험군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당장 이들의 안전을 확인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자립준비청년이 월 35만원의 수당을 일부러 신청하지 않을 이유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간혹 수당을 받는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꺼리는 이들도 있지만, 이 경우 지급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밝히기 때문에 연락 두절과는 상황이 다르다.

 

사회로 나온 자립준비청년의 경우 정서적으로 흔들릴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2020년 실시된 보호종료아동 자립 실태 및 욕구 조사에 따르면 자립준비청년 3104명 가운데 절반인 1552명이 죽고 싶다고 생각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전체 청년을 대상으로 한 자살실태조사보다 3배 높다.  고아권익연대 조윤환 대표는 연락이 두절됐다는 것은 분명히 뭔가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참담한 신호라며 통계에 가려진 숨은 의미를 읽어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지금도 쓰러지기 직전 상태의 자립준비청년들이 꾸준히 상담 요청을 해오고 있다연락 두절 상태를 방치하는 건 정부의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자립준비청년들이 자신이 지낸 시설과 연락을 끊어 신청이 이뤄지지 않은 경우라면 학대가 있었을 가능성을 의심해볼 필요도 있다. 아동복지시설의 학대 문제 고발에 앞장서 온 조 대표는 시설 내에서 학대를 당한 아이들은 시설을 나오면서 연락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아이와 시설의 관계가 완전히 단절됐다면 학대가 벌어졌을 가능성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동복지시설에선 보통 보호종료를 한 달 앞두고 시설 종사자가 관할 지자체에 수당을 신청한다.  아동복지시설 내에서 아동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는 것을 숨기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시설 내부에서조차 아동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으면 이를 은폐하기 위해 신고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수급 대상에는 올라 있지만, 신청은 이뤄지지 않는다.  별다른 사건·사고나 시설과 문제가 없는데도 자립준비청년들과 연락이 닿지 않는 사례가 잇따르는 것도 문제다. 김 대표는 단순히 지원제도와 관련해 정부와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게 문제가 아니라, 이들이 사회와 단절돼 있는 현실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기사출처(인용): 김판 기자(입력 2022. 10. 20. 00:04) pan@kmib.co.kr

/GoodNews paper국민일보 

출처 : [미네르바의집]

특집기사 |   관련뉴스정보를 볼수 있습니다.
Hot Issue
[장선종합사회복지관] 바다에서 꿈꾸다: 아이들의 창의력을 항해하는 ‘해양드림 Dock 2호’ 완공
“아이들이 머무는 이 작은 공간이,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지난 7월 1일, 장선종합사회복지관에 특별한 ‘항구’가 문을 열었습니다. 이름하여 ‘해양드림독(Dream Dock) 2호’. 이곳은 단순한 학습공간이 아닌, 미래의 꿈나무들이 상상의 돛을 달고 바다를 누빌 수 있도록 마련된 꿈의 정박지입니다.구포는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이들을 위한 놀이문화가 다소 부족한 지역입니다. 해양드림독 2호는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며 꿈을 키울 수 있는 공간입니다.       작은 도크에서 시작되는 거대한 여정‘해양드림독’은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 이하 해진공)가 펼치는 대표 사회공헌 사업으로, 세계의 바다를 누비는 선박이 출항하는 ‘도크(Dock)’처럼, 아이들이 바다에 대한 호기심을 품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이다. 이번에 개소한 2호점은 복지관의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하여 창의적 디자인의 ‘독서·학습존’과 ‘작은영화관&보드게임존’ 놀이방으로 재탄생했다. 이곳엔 50여 권의 해양·과학·환경 관련 도서를 포함하여 500여권의 도서와 함께 터치스크린TV 등 창의력을 자극하는 스마트 기자재가 갖춰져 있어, 아이들이 오감으로 배우고 상상할 수 있는 몰입형 학습 환경이 마련되었다. 아이들은 이 공간에서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바다’를 매개로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하며, 자신만의 미래를 설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이번 개소식에 참석한 해진공 류재형 부사장은 “작은 ‘꿈의 정박지’가 아이들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의 바다로 나아가는 첫 출항지가 되기를 바란다” 며, “해양산업의 주역이 될 미래 세대를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위치: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114번길 45 (장선종합사회복지관)• 운영시간: 매주 월~금요일, 격주 토요일 9시~18시 운영• 정기휴무: 격주 토요일, 매주 일요일, 법정공휴일   ■ 문의 : 안초희 과장 (☎336-7007~8)